[관인봉]
°개요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서북단에 위치한 관인봉 일원은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삼국시대 때 고구려, 백제, 신라가
영토 분쟁을 하였던 곳이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백제 땅이었다가 고구려 광개토왕 6년(396년)에는 고구려령이 되었고,
신라 진흥왕 12년(551년)에는 신라의 국토에 편입되어 경덕왕 16년(757년)에는 칠성군에 속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신라 말에는 궁예가 태봉국을 건국하여 철원에 도읍을 정하였을 때 태봉국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한다.
태봉국왕인 궁예의 폭정에 못 견딘 어진(仁) 관리(官)들이 관직을 버리고 이 지역에 모여 살았다는 유래로
이 지역이 관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한다.
정상에서 조망은 북으로는 철원군의 고대산(高臺山.832m)과 금학산(金鶴山.947m)이, 동쪽으로는 고남산(古南山.644m)이,
남쪽으로는 종자산(種子山.643m), 서쪽으로는 지장봉(地藏峰.877m)이 관인봉을 감싸고 있다.
관인봉 산행은 중리에서 주차장을 거쳐 지장봉계곡에 들어선 도로를 따라 잘루맥이고갯마루(지장봉과 관인봉을 잇는 고개)에
이른 다음, 남으로 내려오면서 북봉과 남봉을 차례로 밟은 뒤 중리로 내려오는 것이 많이 알려진 코스다.
왼쪽에 보이는 봉우리가 삼형제봉과 지장봉, 오른쪽으로 보이는 봉우리가 관인봉과 관인북봉이다.
°위치 : 경기 포천시 관인면
°높이 : 관인봉(710m)
[지장산]
°개요 : 숲이 짙고 계곡이 길다. 계곡은 해발 700미터를 넘는 U자형 능선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그윽하고 호젓하다.
계곡의 직선 길이만 4킬로를 넘는다. 계곡엔 단애며 큼직한 폭포와 큰 소가 있다. 여름산행에 제격인 개울과
산의 조화가 기막힌 코스이다.
지장봉의 암릉은 산의 재미를 한껏 높일 수 있고 긴 능선은 산행의 즐거운 괴로움을 만끽하기에 그만이다.
지장봉, 관인봉은 능선산행을 하기 좋은 산이다. 능선을 길게 잡을 경우 전체적으로 15km를 넘는 거리를 산행할 수 있는 산이다.
그렇게 길고 좋은 능선은 어디에나 있는 것이 아니다.
포천군 관인면엔 좋은 산이 여럿 있다. 종자산, 관인산, 지장봉등이다. 지장봉은 또 삼형제봉등 따로 산행이 가능한 봉우리들이 있다.
°위치 : 경기 포천시 관인면, 연천군 신서면, 강원도 철원군
°높이 : 지장봉(877.4m)
°산행코스
매표소-349m봉-보가산성-관인봉(717m)-714m봉-관인북봉(710m)-700m봉-잘루맥이고개(510m)-
지장봉(877.4m)-화인봉(810m)-동마네미고개-칫숲-계곡-매표소
°산행일 : 2009. 10. 4 (일)
°산행인원 : 소금인형과나
°날 씨 : 맑음
°교통편 : 승용차
[지장산 입구: 87번도로에서 우측 막국수집으로 진입]
[매표소 주차장에서 우측입구가 관인봉 등산로입구]
[첫번째로 올라가야할 산봉오리]
[산행중 건너편의 향로봉 모습]
[가운데 조그마한 봉오리가 올라온 능선과 주차장 모습, 저멀리 종자산도 보이고]
[확대한 주차장과 산행시작지점인 매표소]
[전망좋은 바위에서 한컷]
[저멀리 관인봉도 보이고]
[관인면소재지와 저멀리 신철원도 보이고]
[가야할 지장산]
[산성길따라 소금인형이 앞서가고]
[고목들이 길가에서 버티고 있고]
[임도 넘어 삼형제봉도 보이고]
[가는곳마다 기암괴석이 버티고 서있고]
[요상하게 생긴 기암괴석]
[절벽사이로 향로봉이 보이고]
[전망이 좋은 바위에서 소금인형과같이]
[삼형제봉을 배경으로 소금인형 한컷]
[저멀리 희미하게 명성산도 보이고]
포천 관인봉,지장산 산행기-2 에서 계속
'♣산따라물따라 >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천 관인봉,지장산 산행기-3 (0) | 2009.10.07 |
---|---|
포천 관인봉,지장산 산행기-2 (0) | 2009.10.07 |
가을빗속의 설악 공룡능선-4 (0) | 2009.09.27 |
가을빗속의 설악 공룡능선-3 (0) | 2009.09.27 |
가을빗속의 설악 공룡능선-2 (0) | 2009.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