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 개 요 : 설악산은 그 품에 한번 안긴 이라면 누구든지 영원히 사랑하지 않고는 못배기게 만드는 산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 산은 '절세의 미인'에 견주어진다. 죽순처럼 뾰족뾰족한 봉우리가 구름을 뚫고 솟아있는 모습이나 바위를
타고 흘러내리는 비취처럼 맑은 물이 골짜기마다 못을 이루고 폭포를 이룬 모습을 보면 그 말이 그다지 지나치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금강산이 수려하기는 하되 웅장한 맛이 없고 지리산이 웅장하기는 하되 수려하지는 못한데 설악산은 웅장하면서도
수려하다는 말이 있다. 설악산 국립공원은 1965년 11월에 천연기념물 제171호로 '천연보호구역'으로 1970년 국내에서
다섯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설악산 일대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생물의 분포서식지로서 1982년 유네스코에
의해 한국 유일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최고봉인 대청봉(1,708M)을 중심으로 인제군 쪽을 내설악, 동해를 향한 바깥쪽을 외설악, 그리고 양앙군의 오색일대를
남설악이라 구분한다. 내설악 지역은 백담계곡과 수렴동계곡, 가야동계곡, 용아장성, 백운동계곡, 귀때기골,
십이선녀탕계곡 그리고 장수대 지역의 대승폭포, 옥녀탕 등이 대표적인 경관이며, 외설악은 천불동계곡을 비롯하여
울산바위, 토왕성폭포, 비선대, 금강골, 귀면암, 오련폭포 등이 대표적인 경관이다. 남설악 지역은 옛날부터 오색약수와
온천이 유명하고 주전골 일대의 용소폭포, 십이폭포, 여신폭포 등이 대표적인 경관을 이룬다.
더욱이 설악산은 깍아지른 암봉과 암능이 즐비하고 겨울철에는 많은 적설과 함께 빙폭이 형성되어 암벽등반과 빙벽
등반의 최적지로 연중 각급 산악단체에서 수많은 산악인들이 몰려 등반훈련에 열기를 뿜고 있다.
° 위 치 : 강원 속초, 인제, 양양
° 높 이 : 설악산 대청봉(1,708m)
° 산행코스
설악동-비선대-천불동계곡-무너미고개-희운각대피소-소청-소청대피소-봉정암-소청-중청-중청대피소(1박)-대청봉
-희운각대피소-공룡능선-마등령-금강굴-비선대-설악동
° 산 행 일 : 2009. 6. 15(월) ~ 16(화)
° 동 행 : 소금인형
° 날 씨 : 흐림
° 교 통 편 : 성남~속초 - 우등버스(21,400원 2시간50분)
속초시외버스터미널 - 시내버스(7-1번)로 설악동으로 이동(1,000원, 30분)
[설악동 와선대 계곡] - 예전에는 마고선(麻姑仙)이 누워서 산수를 즐긴 곳이라는 전설이 있을 정도로 아름다운 너럭바위(즉 이것이 와선대라고
불리어졌을 것이라고 추정된다.)가 있었으나, 홍수로 상류에서 바윗돌이 떠내려와서 너럭바위(와선대) 위에 얹혀 있으므로 옛모습을 찾을 길이
없다. 전설에 의하면 여기서 누워서 놀던 마고선(麻姑仙)이 비선대에서 승천했다고 한다.
[비선대]-비선대 아래에 있는 와선대(臥仙臺)에 누워서 경치를 감상하던 마고선(麻姑仙)이 이곳에서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비선대라고 한다.
[천불동계곡1]-비선대에서 대청봉에 이르는 설악산에 가장 대표적인 골짜기. 협곡을 이룬 계곡 양쪽의 기암괴봉들이 마치 천불이
꽉 들어차 있는 듯한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설악을 대표하는 절경들이 거의 이골짜기에 밀집되어 있다. 비선대에서 대청봉으로
올라가면서 오른편(서쪽)으로 토막골, 설악골, 잦은바위골, 용소골, 왼편(동쪽)으로 칠선골, 염주골, 죽음의 계곡이 갈라진다.
[천불동계곡2]
[귀면암] - 천불동계곡에 우뚝 솟아 있는 큰 바위. 비선대와 양폭사이에 있다. 생김새가 무시무시한 귀신얼굴 모양을
하고 있어서 귀면암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귀면암이란 이름은 근래에 붙여진 것이고, 원래 옛날에는 천불동계곡의
입구에 버티고 서서 마치 수문장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겉문다지 또는 겉문당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천당폭포]
[무너미고개 이정표]
[소청에서 바라본 천불동계곡,비선대,]
[대청봉과 중청대피소, 여기에서 1박]
[봉정암]
[운무에 가려진 공룡능선] - 마등령에서 희운각못미쳐 바로 북쪽 신선암까지의 바위 능선. 바위가 뾰족하여 마치 공룡의 등같이 생겼다.
나한봉(나한봉), 1,275봉, 노인봉, 1,184봉이 위치하고 있다.
[중청에서 바라본 저녁노을]
[소청에서 만난 일출]
[수렴동 계곡과 용아장성]
[범봉과 외설악 운무]
[공룡능선-1275봉, 천화대, 범봉]
[공룡능선에서 바라본 대청, 중청, 소청]
[1275봉 오름길에서]
[마등령에서 내려가는첫번째 계단길]
'♣산따라물따라 >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제천 신선봉-미인봉 종주 (0) | 2009.09.09 |
---|---|
원시림과 멧돼지 천국의 오대산 종주 (0) | 2009.08.15 |
성남시계 "영장-검단-영장산" 산행기 (0) | 2009.05.24 |
신선봉-마역봉-부봉 산행기 (0) | 2009.05.04 |
진달래가 만개한 강화 고려산~혈구산 종주 (0) | 2009.05.04 |